유튜브 수익창출 조건 충족 여부 - 영상 삭제 vs 비공개

유튜브 수익창출 조건을 달성하려면 구독자 수뿐만 아니라 공개 동영상의 시청시간도 중요하다.
질문자처럼 구독자와 조회수는 넘었지만 일부 동영상을 삭제했다면,
삭제된 영상의 시청시간은 수익창출 요건에서 제외될 수 있다.
이 글에서는 유튜브 수익창출 시 시청시간의 기준과 삭제 영상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명확히 알려드린다.

유튜브 수익창출, 삭제한 영상은 시청시간에서 빠질까요? 📉

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(YouTube Partner Program, YPP)에 가입해 수익을 창출하려면 다음 두 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

  • ✅ 최근 12개월 기준 공개 동영상의 시청시간 4,000시간 이상
  • 구독자 1,000명 이상
질문자님처럼,
  • 구독자: 1,270명 ✅ 충족
  • 누적 조회수: 179만회 (전체 기준) ✅
  • 시청시간: 30,000시간 ✅
그런데 중요한 건 삭제한 동영상 3개(11만, 3만, 4만 조회)가 '공개' 상태일 때 얻은 시청시간이
현재 총 시청시간에 포함되어 있었는지 여부입니다. 지금부터 ‘삭제 영상’이 수익조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정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.



1. 시청시간은 ‘공개 상태일 때의 영상만’ 인정됩니다 🕒

유튜브는 다음 기준에 따라 시청시간을 인정합니다.

  • 최근 12개월 이내에 시청된 시간
  • 공개 상태였던 동영상의 시청시간만 포함
따라서 현재 삭제한 영상이 과거 12개월 안에 공개된 상태로 시청된 시간이라면,
삭제 전까진 시청시간에 포함되어 있었을 것입니다.

하지만 해당 영상을 삭제하는 순간, 그 영상의 시청시간은 수익 요건에서 제외됩니다.

2. 영상 삭제 vs 비공개, 차이는 크다 🚫

비공개 / 미등록(비공개 링크 등) 처리한 경우도 수익창출 시청시간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.
삭제한 경우는 아예 데이터 자체가 사라지기 때문에, 기존에 누적된 시청시간도 사라집니다.

즉, 질문자님이 삭제한 3개의 동영상이 전체 시청시간 30,000시간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면,
현재 유효 시청시간은 기준보다 낮아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.

✅ 확인 팁:

  • ▶ 유튜브 스튜디오 → ‘수익창출’ 탭 → ‘시청시간 확인’ 가능
  • ▶ 기준 미달 시 경고 메시지 또는 진행 불가 안내 표시

3. 다시 올리면 시청시간 복구될까? 🔁

아쉽게도 동일 영상을 재업로드해도 기존 시청시간은 복구되지 않습니다.
유튜브는 영상 고유 ID 기준으로 시청시간을 산정하기 때문에,
다시 올리는 것은 새로운 영상으로 간주되고, 다시 시청시간을 쌓아야 합니다.

📌 다만 재업 시 더 나은 제목, 썸네일, 해시태그로 조회수를 끌어올릴 수 있다면
새롭게 수익창출 조건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

영상 삭제 시 시청시간도 사라집니다. 주의하세요! 📉

요약 정리:

  • 📌 유튜브 수익창출 요건: 구독자 1,000명 + 최근 12개월 공개 동영상 시청시간 4,000시간
  • 📌 동영상을 삭제하면, 그 영상의 시청시간은 계산에서 제외됨
  • 📌 시청시간이 줄었다면, 유튜브 스튜디오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
질문자님처럼 이미 조건을 넘겼더라도 영상 삭제 시 다시 기준을 밑돌 수 있으므로,
수익창출 신청 전에는 절대 영상 삭제하지 마세요.

이미 삭제한 경우라면 다시 올리거나 다른 영상으로 시청시간을 채우는 것이 필요합니다.
유튜브 수익화를 준비하신다면, 콘텐츠 관리와 데이터 유지가 핵심입니다! 🎥💰


다음 이전